본문 바로가기

사회

정신장애와 이상행동의 분류

이상행동이란 무엇인가?

이상행동이란 심리적 자애, 즉 자기 자진이나 타인의 건강, 성장 행복한 삶을 저해하는 빗나간 행동입니다.

 

 

 

고대사회에서는 귀신에 사로잡힌 상태로 알고 잇었으며 중세에는 다시 고대 미신이 부활 정신장애 행동에 대해서 인생의 모든 측면과 마찬가지로 영적인 맥락으로 인정했습니다.

1800년대 들어오면서 영국, 미국 , 불란서 등에서 정신병자들에게 인간적인 치료를 하자는 운동이 확산되었습니다.

 

 

이상행동의 일반적 기분

인산의 모든 행동과 심리적 특성은 관찰할 수 있고 측정이 가능한 통계적 기분이다 즉, 인간의 이상상태나 행동을 측정해서 그 측정치가 정상범위 안게 들면 정상이다.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면 이상이라고 한다.

인간행동에 대한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은 사회규범과 가치 기준에 의해서 판단하는 것이다.

심리적 증상에 의한 기준이며 예를 들어 불안, 우울, 주위집중장애와 같은 증상이 있으면 이상이라 보고 그렇지 않으면 정상으로 보는 기준이다.

인간의 가장 바람직한 적응 상태 또는 성숙한 인간의 특성을 정상이라 보고 이에  벗어나면 이상으로 보는 입장이다.

 

 

 

이상행동의 분류

정신증(psychosis)

정신증의 특징은 퇴행과 인격의 부조화, 통찰 능력의 상실 등을 들 수 있다.

가정, 직장 등의 일상생활에서 기능장애가 일어나 사회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자아 기능의 손상을 이해 현실 검증력이 떨어진다.

외향적으로는 병에 대한 인식이 없고 , 망각과, 환각, 착란 증세를 나타낸다.

대표적으로 정신장애로 정신분열증, 조울증, 망상장애, 중도의 우울증 등을 들 수 있다.

 

신경증(neurosis)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이 있으며 보통은 일상생활을 지속할 수 있다.

그러나 고통스러운 증상이나 증후군과 함께 불안, 우울, 신체 증세를 크게 사회규범에 어긋나지 않는다.

신체 증세가 나타나도 기질적인 원이 이 없이 심각한 스트레스와 같은 외적원인이나 심리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다.

불안장애, 강박증, 사회공포증, 광장 공포증, 다양한 공포증 및 스트레스 증후군이 이에 속한다.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청소년기부터 나타나서 성인기에 이르면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감정기복이 심하고 불안정한 정서 상태, 지나치게 이상화했다가 쉽게 실망한 대인관계 

예측할 수 없는 행동 패턴 등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난다.

현실감이 있는 듯 하지만 지속적으로  가족들을 괴롭히고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반복되면서 사회적, 직업적, 대인관계 면에서 기능 손상을 나타낸다.

성격장애는 분열형 성격장애, 분열서 성격장애, 편집적 , 히스테리성, 자기애적, 수동공격성 성격장애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상행동의 모델

이 모델은 의학적 모델 또는 질병 모델이라고도 한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이상행동의 연구는 의학의 영역에 속해 있으나 이상행동이 생리 적함 때문에 오는 것인지 아닌지를 구별한다는 차원에서 생리적 모델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즉, 이상행동은 생화학적 기초 혹은 생리학적 기초를 가지는 것으로 본다.

예를 들면 우울증에서 왜곡된 사고나 빈약한 인간관계를 강조하기보다는 환장의 생물학적 과정에 관련된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서 설명한다,

그러므로 생리학적 모델에 입각한 전문가는 우울증 환자가 우울 상태에 있을 때 그의 뇌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의 증거를 조사한다 또한 이상행동을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생화학적 용이에 작용하는 화학적 치료나 약품에 의존한다.

 

 

 

정신분석적 모델

정신 분석적 모델에 의하면 행동장애란 무의식적 내적 갈등이 상징적 표현이다.

성인의 이상행동은 어린 시절의 성장과정에서 결정된 무의식의 표현이다.

프로이트(freud)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거의 대부분 환자들이 어린 시절에 상처가 있느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대한 두려움을 갖는 광장공포증의 원인은 어린 시절의 성장과정에서 겪은 심한 고립 상태에 대한 불안이며, 우울증 환자들의 의존적인 성격은 초기 구강단계에 고착되어 자기 비탄이 우울증으로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질환의 원인, 특히 히스테리성 질환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간주하며 이 모델의 치료방법은 무의식 속에 억압되어 있는

갈등이나 외상을 의식화하여 자아가 원만한 기능을 하도록 좁은 것이다.

정신분 적적 방법의 도구로는 초기에 최면술을 사용했으나 최면술을 이용한 환자치료에 문제점을 발견하고 자유연상이나 

꿈의 해석, 방어기제 등을 분석하여 개인의 의식, 무의식을 이해하고 치료한다.

 

 

 

행동주의적 모델

행동주의 모델은 러시아의 유명한 심리학자이며 노벨상을 수상한 파브로프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의 사상을 왓슨, 쏜다이크,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인 스키너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이상행동은 그것이 병이든 정상이든 간에 다른 행동과 마찬가지로 학습의 결과로 얻어진 것이라는 것이다.

즉, 두려움, 불안, 불감증, 우울증 등 유사한 행동들은 모두 학습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행동들은 성장과정에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 습득된 것으로 보고 긍 행동을 약물사용이나 정신분석 없이 학급원 이레 의해서 수정될 수 있다고 간주한다.

 행동주의 치료 모델에는 체계적 둔감법, 모델링, 혐오자극, 토큰경제, 선택적 긍정적 강화와 선택적 처벌들이 있다.

 

 

 

인지적 모델 

인지적 모델은 인간의 생각하고 믿는 기대하는 능력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잘못된  인식과장을 이상행동의 원인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바꿈으로써 이상행동이 치유될 수 있다고 본다. 인지적 모델에서는 정신적 사건. 즉, 기대, 믿음, 기억 등이 행동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적 사건이 변화되면 행등의 변화가 뒤따르게 된다.

인지적 모델에서는 심리적 장애의 원인을 잘못된 사고에서 찾는다. 인지적 치료 초점은 왜곡된 사고를 바꾸어 가도록 이끌어 가는 것이다.

인지적 모델에서 다루는 사고의 유형에는 기대, 평가, 귀인, 신념들이 있다.